Surprise Me!

[여랑야랑]17·25·55·8 / 의원실 쟁탈전

2024-05-05 5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전민영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 17 25 55 8이라…복권 당첨 숫자 같기도 하고요. 어떤 숫자죠? <br><br>21대 국회 마지막 쟁점인 '채 상병 특검법'에서 눈여겨 봐야 할 숫자들입니다. <br><br>지난 2일에 본회의에서 통과됐고 대통령은 거부권을 시사했죠. <br><br>지금으로선 28일 본회의 때 재의결할 가능성이 높은데요. <br> <br>앞서 리포트에서도 보셨지만 재의결에서 통과시키기 위해선 △재적의원 과반이 출석하고 △출석 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표를 던져야 하거든요.<br><br>국민의힘 의원들이 얼마나 이탈하는지에, 채 상병 특검법의 운명이 달려 있는 겁니다. <br> <br>Q. 그렇다면 이탈표에 관련한 숫자들이겠군요. 의미를 알려주세요. <br><br>21대 국회 재적 의원은 295명입니다. <br> <br>전원 참여한다면 2/3인 197명이 찬성을 해야 하는데요. <br><br>21대 국회에서는 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의원까지 범야권, 총 180명이거든요.  <br><br>여권에서 '17'명만 이탈하면 통과되는 겁니다.<br><br>25도 비슷한데요. <br><br>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되기 때문에 출석 인원이 줄어들수록 찬성에 필요한 표 수도 줄어들겠죠. <br><br>만약 여당에서 25명만 본회의에 불참하면 출석 인원이 270명이 되죠. <br><br>그 인원의 3분의 2, 즉 범야권 180명 만으로 찬성표를 채울 수 있습니다.<br><br>여권에서는 17명 이상의 찬성표를, 25명 이상의 불참자를 단속해야 하는 겁니다. <br><br>사실 불참자는 민주당에서도 신경써야 할 부분인데요.  <br><br>국민의힘에서 저 숫자만큼 이탈을 해도, 민주당 의원 전체가 참여를 해야 이같은 시나리오가 가능하기 때문에 민주당 내 이탈표도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.<br><br>Q. 여러 모로 머리를 많이 써야겠는데요. 그러면 55는 뭡니까? <br><br>바로 22대 총선, 국민의힘에서 낙천, 낙선한 의원 수입니다.  <br><br>이 55명의 의원들 중 대통령이나 당에 대한 불만으로 본회의에 아예 안 와버리는 의원이 있을 수도 있다는 건데요. <br><br>민주당에선 이들을 공략해야 하고, 정부여당에선 단단하게 붙잡아야 할 겁니다. <br><br>Q. 마지막 숫자는 8이네요. <br><br>네. 8은 지금은 아니고요. 22대 국회에서 중요해집니다. <br> <br>재의결하기 위해서 21대 국회에선 17명의 이탈표가 필요했지만, 다음 국회는 범야권 의석수가 192명으로 늘기 때문에 2/3인 200석까지 단 8명만 있으면 되거든요. <br> <br>이미 안철수 당선인 등이 찬성표를 예고한 상황에서 더 이상의 이탈표가 있을지 여야 모두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 <br><br>Q. 다음 주제 살펴보겠습니다. <br><br>국회가 보이네요. 국회에서 무슨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는 건가요? <br><br>바로 의원실입니다. <br><br>지금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방을 빼주는 의원들의 짐 정리가 한창인데요. <br><br>명당을 차지 하기 위한 눈치싸움도 벌어집니다.  <br><br>의원회관은 전통적으로 전망이 좋고, 이동이 편리한 5~8층 앞쪽 구역이 인기인데요 <br><br>이 자리의 우선권이 선배 의원들에게 있는 만큼 이미 여야 중진의원들이 자리잡고 있습니다.<br> <br>Q. 4년이나 써야 하니까 좋은 방 경쟁이 치열하겠어요. 그런데 의원들 중엔 방번호에 의미를 두는 경우도 있다면서요? <br><br>네. <br> <br>3선 고지에 오른 권칠승 민주당 의원, 지난 8년간 머물러온 325호를 또 다시 노리고 있습니다. <br><br>저층인 만큼 상대적으로 인기는 없는 곳인데요. <br> <br>문재인 전 대통령이 사용했던 방이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일인 5월 23일을 뒤집은 숫자인 만큼 의미가 있다는 겁니다.<br> <br>또, 4년 만에 국회에 재입성한 박지원 당선인도 예전에 써오던 615호에 재입주하겠단 계획을 세웠는데요. <br><br>본인이 직접 실무 작업에 참여했던 6.15 남북공동선언에 의미를 부여한 겁니다.<br> <br>Q. 이런 논리라면 전직 대통령들이 썼던 방들도 인기가 좋을 것 같은데요? <br><br>꼭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. <br> <br>과거, 박근혜 전 대통령이 사용했던 620호. <br><br>한때 친박계 집결지로 불리며 여권에서는 인근 의원실들이 큰 인기였다는데요. <br><br>하지만, 이번 선거 이후 사정은 달라졌다고 합니다. <br> <br>왜냐하면 616호부터 623호까지 머무른 현역 의원 8명 중 국민의힘 서범수 의원 빼고는 이번 총선 당선자가 없거든요. <br><br>그래서 인기가 시들해졌다고 하고요. <br><br>한편으로는 경치나 상징보단 엘리베이터 옆처럼 실용성을 중시하는 의원들도 있다고 합니다.  <br><br>5월 중순까지 방 배정이 진행되는데요.<br><br>어느 방에 배정되든, 장소나 위치보다는 새로운 마음가짐이 중요하겠죠.  <br><br>4년간 좋은 활동 해 주길 기대해봅니다. (마음가짐)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